공유를 받은 영상인데, 기본적이면서도 핵심을 다루는 내용이다 어릴수록 기회가 많고, 본인의 몸값올리기와 함께 투자를 할 시간이 많기 때문에 이런 영상을 토대로 본인만의 소득을 늘리는 방법을 만들어두어야 한다 앞으로는 더욱 더 1가지 직장만으로는 먹고 살기 힘든 세상이 올 것이다 https://youtu.be/lEnECEm0_j8 -----------------내용 정리----------------------- 돈을 벌어서 자산화를 해야 한다 소득으로 자산을 만들고, 자산이 다시 소득을 만드는게 자본주의에서 개인이 해야할 본질이다 돈을 벌지 않으면 돈을 굴릴 수 없다. 즉, 투자를 할 수 없다 월급을 늘리는 건 쉽지 않다. 그래서 부자들은 사업을 해서 소득을 늘리는 것이다 소득을 늘리는 방법 *퇴근 후 주..
연봉과 관련된 여러가지 데이터를 살펴보면서 흥미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회사에 다니는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연봉 실수령액을 궁금해하겠지만, 유독 연봉 2400만원, 연봉 3000만원, 연봉 4000만원,연봉 5000만원 실수령액을 궁금해 한다는 것이다 연봉 3000만원,연봉 4000만원, 연봉 5000만원은 숫자가 딱딱 떨어져서 궁금해하는 것 같기도 하고, 평범한 직장인이라면 연봉이 3000~5000만원에 분포해 있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연봉 2400 실수령액왜 연봉 2400만원의 실수령액을 사람들이 궁금해하는지 생각해봤는데, 아마 최저시급 기준 월급과 비슷해서 그런게 아닐까 싶다. 2021년 최저시급 기준으로 월급과 연봉 계산해보자 위의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매달 최저시급 월급은 약..
안녕하세요. 경제와 직업에 관심이 많은 초보투자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흥미로운 기사 하나에 대해 고민하면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기사의 주된 내용은 잘 살고 돈이 많은 사람일수록 투자에 대해 더 공부를 한다는 것입니다 n.news.naver.com/article/032/0003037015 계층·소득이 높을수록 “주식·부동산 투자, 부모가 권해요” [창간기획-2030 자낳세 보고서 ②] [경향신문] MZ세대(밀레니얼 세대+Z세대) 안에서도 계층과 소득 수준에 따라 투자경험과 투자에 대한 인식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계층이 고착화하는 상황에서 투자를 발판으로 n.news.naver.com 제 주변을 봐도 그래도 비교적 소득이 높고 투자경험이 있는 부모 밑에서 자란 친구들이 투자에 조금이라..
안녕하세요. 경제와 직업에 관심이 많은 투자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순자산을 늘릴 때 저축과 투자의 중요성에 대해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투자, 경제 블로그로 유명하신 피우스 님의 블로그 글을 참고했으며, 좋은 글이라 혹시라도 나중에 사라질 수도 있어서 필요한 부분을 제 나름대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원문링크] m.blog.naver.com/jeunkim/221536428860자산 증식에서 저축과 투자 수익의 역할이전 글에서, 처음으로 순 자산을 1억 원으로 증식하기까지가 가장 어렵고, 가장 오래 걸린다는 사실을 ...blog.naver.com 1억의 중요성저처럼 재테크나 투자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사회초년생들은 한번쯤은 '1억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을 들어봤을 겁니다. 즉, 아껴쓰고 일을 열..
안녕하세요.경제와 투자에 관심이 많은 초보투자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좀 재밌는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제 블로그를 꾸준히 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저는 경제적 자유를 꿈꾸고 있는 사람입니다. 미국에서는 이것을 FIRE (파이어족)라고 부르더군요 경제적 자유의 정의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 누구에게는 연봉이 높은 것일 수도 있고, 누구는 좋은 아파트에 사는게 경제적 자유를 의미하는 것일수도 있겠죠 하지만 진정한 경제적 자유는 제 시간을 마음대로 쓸 수 있을 때를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즉, 100만원을 벌어도 본인이 20만원을 쓰고 의식주가 해결된다면 굳이 많이 돈이 없어도 경제적 자유를 이루었다는 뜻입니다 연봉이 1억이든 2억이든 계속 죽을 때까지 일을 해야한다면 그것이 경제적 자유라고 생각하지 ..
제가 평소에 자극을 받고 싶을 때 참고하는 블로거이자 유튜브이신 오박사님 좋은 영상이라 생각되어 스스로 정리해봤습니다 오박사님이 만약 더 젊은 나이로 돌아간다면 이렇게 한다고 합니다 (사회초년생 재테크) 1. 가처분소득을 늘려야 합니다 수입을 늘리거나 지출을 줄이라는 뜻입니다. 수입도 늘리고 지출도 줄이는 것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면 훨씬 좋습니다 야근을 더 한다던가 특근을 하는 등 단순하게 노동력을 투입해서 소득을 늘리려는 분들은 다시 생각해봐야 합니다 단순하게 시간을 때려박아서 소득을 늘리려고 하면 안됩니다 (예를 들어 단순히 택배 알바 더 해서 돈 조금 올리는 것) 당장 현금흐름을 가져오지 않더라도 미래에 더 큰 현금흐름을 가져올 수 있는 방법이라면 지식을 쌓는 것이 더 좋습니다 (예를 들어 대학..
안전마진'의 저자로도 유명한 본 세스 클라만이 생각하는 투자의 기질, 투자유전자, 가치투자 등 그의 투자철학이 기초적인 내용부터 비교적 심화된 내용까지 넓게 나오는 영상을 유튜브에서 보고 일부분을 캡처했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의 내용을 확인하고 싶으신 분들은 맨 아래 영상의 링크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https://youtu.be/bWBIjyLHGMQ 현재 안전마진의 번역서는 존재하지 않는데, 우연히 책의 핵심 내용을 정리한 내용이 있어 함께 첨부합니다 Margin of Safety 절판된 100만 원짜리 투자서 이 책은 여러모로 전설적이다. 값이 무려 100만 원이다. 절판되었다. 한글로 번역되지 않았다. 내용이 깊고 묵직한 데다 강렬하다. 이 책은 안전마진 및 가치투자의 철학과 트레이딩 기법 등을 전한다..
https://youtu.be/Qj7NRDYWZYw 주식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알고 사는 것'이다 저는 사람들이 주식을 사는 것을 보고 놀랐어요. 주식을 왜 샀는지 설명하지 못합니다 그들은 1분 이내에 주식을 산 이유를 설명을 못해요. 사실 저를 정말로 힘들게 그들의 이유는 '주가가 오를 것이기 때문' 그게 주식을 들고 있는 유일한 이유입니다. 만약 10살짜리 아이에게 주식을 산 이유를 2분 이내에 이해시키지 못한다면 주식을 들고 있으면 안됩니다 그리고 이는 80% 정도의 투자자들에게 해당되는 사실입니다 나는 던킨도너츠로 돈을 벌었어요. 이해하기 쉽고 경기침체가 와도 장사를 할테니 걱정없이 갈 수 있고, 이해하기 쉽습니다. 웃으시죠? 저는 던킨도너츠로 10-15배를 벌었어요. 이런 주식..
우리나라 30대 이하 주식부자 순위입니다 당연히 30대 이하이기 때문에 본인들의 노력이라기보다는 부모들이 부자인 경우가 다 입니다 30세 이하100억 이상 주식부자들의 1인당 평균 368억원이고, 51명 전체의 총 금액은 약 2조 가까이 됩니다 1조는 너무 큰 금액이라 저는 저 금액이 실감이 안갑니다 25-30세 사이의 분들이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위는 아모레퍼시픽 회장님 따님이시군요. 무려 주식값만 2000억원이 넘습니다 요즘 코로나 때문에 아포레퍼시픽 주가는 굉장히 내려갔는데 그건 개인 투자자들 얘기고, 이분들은 끄덕없죠 패션센스나 외모도 출중하시네요 2위는 NICE 홀딩스 대표인 김원우 (고 김광수 회장님 아들) 3위와 4위는 모두 클래시스 대표이사의 친인척입니다 5위는 LG 구본무..
자본주의 시대에서는 돈이 많은 것이 계급입니다 점점 더 돈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툭 까놓고 말하자면 불법을 저지르는 일이나 사기를 저지르는 일이 아닌 이상 직업의 귀천은 돈을 많이 버냐? 적게 버냐로 나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시대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공부 해서 대기업에서 꼬박꼬박 돈을 모으면 되는 줄 착각하는 분들이 계십니다. 또한 양복 입고 넥타이 매고 일하는 직업들이 좋고 청소하는 일은 3D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시대는 분명히 변하고 있습니다 저는 다른 글에서도 언급했다시피 의대 졸업을 앞두고 있는 사람입니다. 굳이 한 쪽을 택하자면 청소를 하는 일보다는 조금 있어보이는 직종에 속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저는 이미 알고 있습니다. 의사라는 직업 하나만으로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