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직장인 또는 회사원과 마찬가지로 공무원도 연가와 병가가 있다 물론 직장인과 받는 연가일수와 병가일수는 조금 다르다. 또한 쓸수 있는 사유나 보상 또한 직장인과 공무원이 조금 다르다 공무원 연가일수와 병가일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전에 블로그에 작성해둔 아래의 글부터 읽고오길 바란다 공무원 연가일수 및 병가일수 정리 및 계산 이번 글에서는 공무원과 교사가 연가를 여러가지 사유로 인해 사용하지 못했을 때 받는 연가보상비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다 공무원,교사 연가보상비 계산법 공무원 연가보상비는 아래의 공식으로 계산해볼 수 있다 여기서 본봉은 본인의 호봉별 기본급을 뜻한다. 공식을 보면 알겠지만, 하루에 받는 돈의 86%만 주는 것이다 본봉 x 86% x 1/30 x 연가보상일수 일반적인..
공무원은 상당히 안정적인 직업이라 많은 사람들이 박봉인데도 불구하고 선호하는 직업 중 하나다. 공무원은 회사원들과 마찬가지로 연가 및 병가를 사용해서 휴가를 간다 사회에 진출하여 일을 해본 사람들은 많이 공감하겠지만, 휴가만큼 좋은게 없다.보통 연가는 아무때나 쓸수 있는 반면, 병가는 몸이 아플 때 쓸 수 있는 휴가다. 요즘 인기가 많은 공무원들은 연가일수와 병가일수가 1년에 며칠이나 될까? 간단하게 정리해봤다 공무원 연가일수 본인이 쓰고 싶을 때 쓸 수 있는 연가! 최고의 휴가라고 볼 수 있다. 연가일수는 연차에 따라서 다르게 주어진다 아래표는 공무원과 일반 회사원들에게 주어지는 연가일수는 비교분석한 표이다. 공무원의 경우는 5년차까지 매년 연가일수가 꾸준히 증가한다. 특히 4년차에서 5년차로 넘어갈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