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이 가속화될수록 학군지 집중화는 더 심해집니다 (By 밴쿠버선봉장)
- 부동산/디시인사이드 벤쿠버선봉장
- 2022. 5. 19. 17:41
2022.5.3 밴쿠버선봉장 글
---------이하 원문------
저출산이 가속화될수록 학군지 집중화는 더 심해집니다
중국제국 소황제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남조선도 사실상 자녀1 완바틀로 낳아서 남바완으로 키우자라는 마인드가 팽배해져서,예전처럼 형제가 둘셋인 케이스가 드문데욬ㅋ
니들이 깔치하나 만나서 결혼하다가 콘돔빼고 친 빠구리에 어쩔수없이 아랫다마 비집고 삐져나온 얼라 하나를 홍길동이라고 칩시다
그 길동이 인생은 단순히 엄마아빠 둘만의 인생이 아닙니다
엄마의 친정부모 대가리 둘
아빠의 친정부모 대가리 둘
총6명의 기르고 관리하는 얼라가 되는거죠
그렇기때문에 6명이 몰빵해서 키우는 아이라 어설프게 키우지 않을겁니다
물론 장인장모가 어디 구석탱이 빌라전세살이 전전하는 짐승이면 몰라도, 애지간히 먹고살만큼 일궈논 집구석이면 아장아장 걷던 아이가 입주댕이로 엄마 아빠 거리고 유뷰트보면서 낄낄거리기 시작할때즘되면 학군지를 쳐다보게 됩니다
인천 사는애들은 송도를 볼것이고, 부천사는애들은 목동전세방이라도 찾아볼것입니다
그렇게 6명이 키우는 얼라의 소비수준과 학군지 수요는 니들이 생각하는 그 이상입니다
니들이 비지니스를 하고싶거든 이렇게 세상을 넓고 크게 바라보는 연습을 하세요
어떤 무식한 짐승은 디지털시대라서 4차산업시대라서 학군지가 무의미해진다는 개소리를 창피한지도 모르고 입밖으로 내뱉던데욬ㅋ
실제로 짐승들이 생각하는데로 세상은 흘러가지 않읍니다
이 세상은 갑을 위해 존재하고, 갑들에 의해 움직입니다
평생 을이였던 심지어 계약서상에서도 임차인 을의 신분인 니들 머릿속에 들어있는 개똥철학은 중요하지 않읍니다
돈 몇푼이라도 더 벌어서 고생하시는 부모님 하루라도 빨리 호강시켜드리고 싶으면 니 머릿속 짜장면발은 쓰레기통에 쳐담아두시고 부자들의 생각과 행동을 읽으려고 노력하세요
그게 부자가 되는 첫번째 걸음마입니다
감사합니다
내랜조
https://blog.naver.com/sofoswh/222719435529
저출산이 가속화될수록 학군지 집중화는 더 심해집니다
중국제국 소황제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남조선도 사실상 자녀1 완바틀로 낳아서 남바완으로 키우자라는...
blog.naver.com
-----이상 원문----
----내 생각----
나는 이전부터 쭉~ 블로그에 앞으로 학벌의 중요성은 더욱 더 떨어질 것이라는 뉘앙스의 글을 적어왔다
딱 3년 전에 블로그에 적었던 글이다
https://more-money-no-problems.tistory.com/34
학벌의 가치는 낮아지고 있고, 앞으로는 더 낮아질 것이다 (학벌의 중요성과 취업 현실/학벌사회
제 블로그의 '다양한 생각'에 적는 첫 글을 학벌에 대한 제 생각입니다 현재 (2019/9/13) 기준 제 생각입니다 학벌에 대해 논하기에 앞서 제 학벌에 대한 내용도 적어보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왜
more-money-no-problems.tistory.com
위의 글과 함께 보면 좋을 글은 메가스터디 손주은 회장님이 생각하는 직업과 학벌에 대한 얘기다
https://more-money-no-problems.tistory.com/79
2020 메가스터디 손주은이 말하는 대학교 진학이 답없는 이유 (인구구조의 변화와 총부양비/손주
손주은 선생님은 참 훌륭하신 분입니다 예전에 젊으셨을 때 훨씬 더 공격적이고 직설적으로 얘기해서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저는 그 때도 좋아했고 손 선생님의 영상을 보면서 자극을
more-money-no-problems.tistory.com
학벌의 중요성이 떨어질 것이라는 내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하지만, 그래도 학군지 아이들의 상태가 상대적으로 비학군지보다 좋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실제로 요즘은 아이를 한명만 낳고, 금지옥엽처럼 키우고 있다. 그래서 밴쿠버선장의 말은 어느정도 맞다
게다가 학군지로 보낸다는게 단순히 공부를 시킨다는 의미는 아니고, 어쨋든 아이가 빗나가지 않게 키우려고 한다는 관점에서 학군지에 대한 수요는 유지될 수도 있을 것 같다. 게다가 돈이 많은 사람이 생각보다 우리나라에 많기 때문에, 나는 학군지를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아도 누군가는 학군지를 선호할 것이다
게다가 아이도 1명인데 얼마나 많이 투자하겠는가? 그렇게 생각해본다면 학벌의 중요성과는 별개로 학군지에 대한 선호도는 어느정도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중간에 어설픈 학군지는 나가리 되고, 정말 우수한 학군지만 살아남게 되지 않을지?
그렇다면 지금 최상위권 학군지가 있는 입지들의 가치는 오히려 앞으로 명품처럼 가치가 우상향할 수도 있겠다
그런데 일단 내 친구들만 봐도 결혼을 안하겠다느니, 결혼은 해도 딩크족으로 애는 안낳겠다느니 하는 애들이 점점 많아지는 판국에 학군에 대한 수요가 얼마나 있을지는 정확히는 감을 못 잡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