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 금융지주 배당일 배당금 입금 및 지급일 (부산은행 배당금)
- 주식/2023년 국내주식투자
- 2023. 4. 2. 22:00
주식투자자들은 매년 3월말~4월말까지 신이 난다. 주식 배당금이 입금되기 때문이다. 미국주식의 경우 분기별로 (3개월마다) 배당금을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매달 현금흐름이 생긴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국내기업 및 주식들은 정말 많이 주면 분기배당, 그게 아니라면 반기마다 배당금이 주어진다
그리고 대부분은 연말 결산배당만 한다. 즉, 1년에 한번만 배당금이 지급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은행주들은 주가가 크게 오르지는 않지만, 그래도 고배당 매력이 있기 때문에 포트폴리오에 아주 조금 들고 있는데 2023년에는 3월 30일에 배당금이 입금되었다. 입금내역을 확인해보면서 BNK 금융지주 주당 배당금과 함께 배당금 지급일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번 정리를 해봤다
BNK 금융지주 주가
BNK 금융지주 및 부산은행의 주가는 현재 6500원이다. 2023년 1분기 때는 코스닥 지수가 엄청 오르면서 중소형주가 상당히 강했는데, 코스피 지수보다도 못한 것이 은행주들이었다
금융주나 은행주에 투자를 하겠다는 투자자들도 꽤 보이는데, 나쁘지는 않다고 보지만 최근 시장의 흐름을 보면 이런 주식들보다는 확실히 핫한 중소형주들이 잘 움직이는 느낌이라 배당 + 안전한 투자로 포트폴리오의 일부를 주는 것은 괜찮아 보이지만 비중을 싫는 것은 재미를 못볼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BNK 금융지주
배당금 배당일
주식투자를 몇년 했거나 주식 배당금을 여러번 받았다면 주식 배당금 및 배당공시를 확인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본인이 궁금하지 않다면 이렇게 주식 배당금이 입금될 때 증권사에서 알림이 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굳이 알아볼 필요는 없다
하지만, 은행주나 증권주와 같이 배당금이 많은 고배당 주식들의 경우에는 기업에서 배당금을 줄이면 주가가 함께 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고배당주들의 비중이 많은 주주라면 배당공시를 잘 챙겨보는 것이 좋다
최근 3-4년간 BNK 금융지주에서 주주들에게 지급한 주식 배당금은 주당 얼마나 되는지 간단하게 살펴보자
2018년 BNK금융지주 배당금
: 주당 배당금 300원 (배당수익률 4.09%)
2019년 BNK금융지주 배당금
: 주당 배당금 360원 (배당수익률 4.70%)
2020년 BNK금융지주 배당금
: 주당 배당금 320원 (배당수익률 5.63%)
2021년 BNK금융지주 배당금
: 주당 배당금 560원 (배당수익률 6.67%)
2022년 BNK금융지주 배당금
: 주당 배당금 625원 (배당수익률 8.6%)
보면 알겠지만 2022년 BNK 금융지주 주당 배당금은 625원으로 연간 배당수익률이 8.6% 나 된다. 엄청난 고배당주라고 볼 수 있다. 참고로 최근 금리가 높아져서 예금 금리가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BNK금융지주 배당락
배당금 지급일
같은 기업이라고 하더라도 매년 배당금이 입금되는 배당금 지급일 및 입금일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BNK금융지주의 경우 앞서 말했듯 2022년 배당금이 2023년 3월 30일에 주식 계좌로 입금되었다
주시계좌에 배당금이 입금될 때는 배당소득세 15% 정도가 떼이고 세후 금액이 입금된다. 본인 계좌에 배당금이 입금되었는데도 알림이 오지 않는다면 증권사별로 알림을 설정해둘 수 있으니 설정해두길 바란다. 나 같은 경우는 하나증권을 이용해서 투자를 하는데 알림이 다음과 같이 온다
BNK금융지주의 경우 연말에 딱 한번 결산배당을 하며, 배당락일은 12월 29일이다. 또한 배당기준일은 12월의 마지막날인 12월 31일이다
하지만 매년 말일은 주식시장이 열리지 않는다. 따라서 12월 30일까지만 주식시장이 열리면, 연말 결산배당을 하는 기업들의 경우 배당락일은 12월 29일이 된다
그런데 주식 배당금을 받기 위해서는 배당락일 하루전 까지 주식주문을 하고 체결해야 한다. 즉, 결산배당을 하는 기업들의 배당금을 받고자 하는 투자자라면 12월 28일까지는 주식주문을 해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배당기준일 및 배당락일에 대해 잘 모른다면 아래의 글을 참고해보는 것도 좋으며, 주식 배당금은 2000만원 정도를 넘어설 때부터는 세금에 신경을 써야 한다. 하지만, 그 정도의 배당금을 받으려면 주식으로 보유하고 있는 금액도 적지 않기 때문에 당장 걱정할 필요는 없다
주식 배당금 입금일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방법들도 있다. 궁금하다면 아래의 글을 참고하면 된다
*배당기준일, 배당락일에 대한 이해
*배당금 입금일 확인하는 방법
*배당소득세 2000만원 이상인 경우 세금은?
2022년에 주식 배당금이 세전으로 700만원을 넘어섰다. 이에 대한 기록은 얼마 전에 남긴 적이 있으니, 금융소득 원천징수 명세서가 어떻게 날라오는지 그 사진이 궁금하다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보자
* 금융소득 원천징수 명세서 (주식 배당금 비과세 분리과세 종합과세이자 종합과세대상금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