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한도 상향,하향,초기화 방법

신용카드 한도 상향,하향,초기화 방법

현금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점점 줄고 있다. 대부분이 결제를 할 때 신용카드를 사용하고, 이제는 신용카드 마저 안쓴다. 카드를 안 들고 다니고 삼성페이 등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신용카드도 한도라는 것이 존재한다. 제일 난감한 상황이 신용카드를 1장만 들고다니는데, 한도초과가 되어서 결제를 할 수 없을 때다. 그래도 최근에는 계좌이체로 돈을 받는 경우도 많지만, 계좌에도 현금이 없다면 난감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평소 본인의 소비생활 습관 및 소비금액을 미리미리 잘 파악해둬서 신용카드 한도를 맞춰놓는 것이 좋다. 이번 글에서는 신용카드 한도 상향,하향 및 초기화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다

 

신용카드 한도 상향

 

일반적으로 월급을 받는 직장인이 신용카드를 만들게 되면 한도가 150~200만원 정도 된다. 이 정도면 넉넉한 것 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평범한 사람 1명이 생활할 수 있는 돈 정도는 된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1달 생활비를 생각했을 때의 얘기고 때에 따라서는 100-200만원 짜리 물건을 사야할 때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신용카드 한도를 늘려야 할 때도 있다

 

하지만, 신용카드 한도 상향은 하고 싶다고 해서 누구나 다 해주는 것은 아니다. 카드회사에서 사용자의 월급 및 소득요건도 고려하지만, 신용점수 및 신용등급도 고려한다

신용카드회사가 신용등급 별로 사용자를 3개의 구간으로 나눈다고 한다. 그래서 신용점수가 나쁜 사람은 신용카드 한도 상향에 실패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신용등급을 크게 3개로 나눈다하니 가능하면 5~6등급 안으로는 관리하는 것이 좋겠다

 

신용등급 1~4등급 

신용등급 5~6등급

신용등급 7~10등급

 

신용카드 한도 상향을 하고 싶다면, 요즘은 각 은행 및 카드사 어플 및 홈페이지에서 신청을 하면 된다. 한도 상향에 앞서, 본인의 현재 신용카드 한도를 먼저 확인해보길 바란다

 

어플에서 한도 상향을 신청하면, 카드회사에서 평가후 가능하면 거의 곧바로 한도상향을 해준다. 참고로, 한도 상향이 되었어도 신용점수 및 신용등급이 낮아지거나 연체기록이 발생하는 경우 한도 하향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신용카드 한도 하향

 

신용카드 한도 하향을 원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스스로가 소비생활을 절제하기 위해 하는 것일수도 있고, 부모님이 자녀에게 신용카드를 주면서 소비의 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신용카드 한도 하향도 신청하면 바로 적용될까?

 

신용카드 한도 하향을 본인이 직접 신청하는 경우 바로 적용이 된다. 미리 할부 등으로 결제한 금액이 있더라도, 한도 하향은 바로 된다고 한다

 

하지만, 본인이 결제해둔 금액보다 더 적은 금액으로 한도를 하향하는 경우, 그 금액을 모두 갚을 때까지는 추가적으로 신용카드를 사용할수 없다. 따라서 신용카드 한도 하향을 자발적으로 신청하는 경우, 본인의 소비생활을 고려한 후 하향을 해야할 것이다

 

신용카드 한도 초기화

 

신용카드 한도 초기화 및 복원시기를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즉, 매달 언제 신용카드 한도가 다시 늘어나는지를 궁금해하는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매달 1일이 신용카도 한도 초기화시기라고 생각한다. 즉, 매달 1일이 되면 다시 한도만큼 소비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틀린 정보다

 

신용카드 한도가 초기화 및 복원되는 시기는 결제대금이 나가는 결제일이다. 예를 들어 매달 25일이 신용카드 결제일이면, 25일에 계좌에서 돈이 나가면 신용카드 한도가 복원된다는 뜻이다

블로그에 투자와 경제 및 소득에 관련된 글들이 많다. 관심이 있다면 아래의 글들부터 한번씩 읽어보길 권한다

 

우리나라 20대~50대 연령별 평균연봉 및 월급을 정리한 글도 있고, 우리나라 가구별 순자산 상위 0.1%,1%,5%,10% 순자산 규모에 대해 정리한 글도 있다

 

이외에도 하나은행 OTP 발급후 계좌이체 한도 증액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둔 글도 있으니 한번씩 읽어보길 바란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