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을 떼기전 연봉 및 월급을 '세전' , 그리고 각종 세금을 뗀 후 내 손에 들어오는 실수령액을 '세후' 라고 부른다. 요즘은 임금이 이전에 비해 인상되었기 때문에 세전 연봉 1억을 찾는게 그렇게 힘들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억대 연봉자는 상위 4~5% 정도 된다. 그렇게 많다고 보기는 힘들지만 확실한건 적지도 않다는 것이다. 임금이나 연봉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세후 280 만원을 버는 사람의 세전 연봉 및 월급은 얼마나 될까? 그리고 세후 280 만원 으로 결혼도 하고 나중에 집도 살 수있을까? 이번 글에서는 세후 280 만원을 받는 직장인의 경우 평균적인 연봉은 되는지, 그리고 현실을 어떤지 간단하게 알아보겠다 남자 세후 280만원 현실 이전에 비해 남녀평등 사회가 되었고, 육아나 가사..
며칠전에 하나은행에서 우리나라 40대가 사는법이라는 제목으로 40대의 순자산,부채,자산 등에 대한 데이터와 평균연봉, 주택유무에 대한 자료를 발표한 적이 있다 아직 나에게는 먼 얘기지만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했다. 왜냐하면 경제적으로 가장 활발한 나이는 30-40대이기 때문에 이 사람들이 어느 정도의 자산을 갖고 있는지 파악해둘만은 하기 때문이다 40대 평균연봉 우선 평균 세후 월 실수령액은 468만원인이다. 결코 적은 금액이 아니다. 돈을 벌어보지 않은 사람들이라면 모르겠지만, 세후 월 470은 엄청 큰 돈이다. 세후 월 470이면 연봉이 약 7000만원이다 40대 평균연봉이라고 생각하지는 않고, 가구 월 세후 실수령액으로 잡았다는 생각이 든다 개인적으로 소비습관에서 이해가 안되는 것이 세후 470만원을..
안녕하세요. 직업과 경제에 관심이 많은 초보 투자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리나라의 중산층 기준과 중산층의 재산, 그리고 중산층의 소비생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글을 쓸 때 참고한 자료가 있는데, NH 투자증권에서 나온 2020년 중산층 보고서 입니다 최근에 세습 중산층 사회라는 책도 인기가 있는 것 같은데,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중산층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 중산층의 기준과 뜻에 대해 한 번 제대로 알아볼까요? 중산층의 뜻 중산층의 기준 중산층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중산층의 조건 아래의 사진은 '이상적인 중산층의 모습'입니다. 즉, 중산층이 아니라 주산층보다 더 잘 사는 겁니다 중산층에 대한 정의가 중위소득의 75~200% 구간으로 상향 되었음에도 대부분 중위소득의 150%는 넘어야..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