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장학금 및 한국장학재단 소득분위는 대학교 또는 대학원을 다니고 있는 학생들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왜냐하면 국가장학금 소득분위로 인해 장학금 수령여부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소득분위는 단순히 부모님의 소득 및 학생의 소득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소들이 고려된다. 소득분위는 1분위가 낮은 것이고, 10분위가 높은 것이다 그렇다면 소득분위 10분위. 9분위, 8분위 등 소득구간별 비율은 어느정도나 될까? 그리고 명문대 또는 의대와 같이 상대적으로 학교가 좋은 곳들에 재학중인 학생들은 소득분위가 높은 편일까?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번 알아보자 SKY대학 소득분위 (서울대, 연대, 고대) 먼저 우리나라에서 SKY 라고 부르는 서울대, 연대, 고려대 재학생들의 소득분위는 어느정도나 될..
안녕하세요. 직업과 경제에 관심이 많은 초보투자자입니다. 대학생들에게 장학금과 학자금대출은 생각보다 많이 중요한 이슈입니다. 저도 대학생 때 학자금 대출을 받은 적이 있기도 하고요, 꼭 학자금 대출이 아니라도 소득분위가 낮은 경우 장학금이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있어 소득분위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또한 소득분위는 장학금 외에도 쓰이는 곳이 많아서 다른 분들도 평소에 알아두면 좋습니다. 우선 소득분위의 경계값도 매번 조금씩 바뀌는데요. 가장 최신 정보로 가져와봤습니다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기준 우선 국가장학금 소득분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국가장학금 소득분위를 계산할 때 기준중위소득도 이용이 되는 지표 중 하나인데요. 기준중위소득의 뜻을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아서 아래와 같이 기준중위소득의 뜻을 첨..
우리나라 명문대를 떠올리면 여러학교가 있겠지만 서울대/연세대/고려대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을겁니다 빈부격차가 심해지고 잘사는 분들의 자녀가 좋은 학교에 들어간다는게 거의 사실화되고 있는데, 정말 그럴까요? 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객관적 자료) + SKY 중 한 곳을 졸업한 제 경험 (주관적 자료) 를 바탕으로 한 번 글 써보겠습니다 우선 객관적인 자료인 소득분위부터 보겠습니다 2012~2019년 까지의 자료 합산입니다. 꽤 신뢰성이 있겠죠?물론 장영업자의 경우 소득분위가 명확하게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자영업자가 특정소득분위에 몰려있지는 않기 때문에 신뢰할 만한 자료라고 생각합니다 의대생들의 소득분위는 또 다른 자료가 있는데 다음에 기회되면 다른 글로 얘기해보겠습니다 우선 10분위가 소득수준이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