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가구당 평균 순자산이 5억 4000만원 가량 된다는 통계가 발표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이전 글에 자세하게 다루었으니 궁금하다면 아래의 글을 읽어보자 *2022년 가구당 순자산 평균자료 살펴보기 가구당 순자산을 높이기 위해서는 투자를 잘해야하기도 하지만, 시드머니를 모으기 위해서는 월급이 일단 많아야 한다. 또한 월급쟁이의 경우 현금흐름이 대부분 월급에서 나오기 때문에, 안정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가구소득이 높아야 한다 우리나라 월평균 가구소득은 얼마나 될까? 2022년 월평균 가구소득 월평균 가구소득 또는 가구당 월평균소득은 네이버 검색창에서 검색하면 매년 분기별로 통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최근에 가구소득이 약 482만원으로 늘어났으며, 약 1-2년 사이에 50만원 정도가 상승했다 돈이 많이 ..
최근에 2020년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순자산에 대한 자료가 발표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나만 돈이 없나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한다. 그도 그럴것이, 코로나19 경제위기 이후 모든 투자자산의 가격이 올랐으며 실제로 통계자료에서 가구당 순자산이 4억 5천만원에서 5억으로 10% 증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통계자료는 왜곡이 되기가 쉽다. 그 통계자료가 작성자의 의도이든 아니든 말이다. 우선 간단하게 최근에 발표된 우리나라 가구당 순자산 통계를 살펴보고, 왜 우리가 이런 통계자료를 그냥 그대로 받아들이기만 해서는 안되는지 살펴보자 2020년 가구당 평균 순자산 항상 이전해의 통계수치가 다음해에 발표되는 꼴이다. 즉, 2021년 최근에 발표된 가구당 순자산 통계는 2020년 가구당 순자산에 대한 것이다. '..
안녕하세요. 직업과 경제에 관심이 많은 초보투자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비자물가지수 변화를 살펴보면서 가구당 순자산과 가구당 월평균소득 변화는 어떻게 변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제가 참고하는 자료는 2020년 6월 통계청에서 발표한 한국의 사회지표 자료이니, 궁금하신 분들은 우리나라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참고할겸 정독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우선 소비자물가지수 변화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 변화 물가가 이전에 비해 많이 올랐다는 얘기는 누구나 들었을겁니다. 그런데 우리의 연봉은 제자리입니다. 그렇다면 물가는 도대체 얼마나 올랐을까요? 2019년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0.4%, 생활물가지수는 0.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2016년 이후 1%대를 유지하던 물가상승률은 2019년에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